Tìm hiểu về biên dịch - phiên dịch - 제대로 된 통역 번역의 이해 /
PART 01 통역·번역이란 무엇인가? 제1장 통역·번역과 커뮤니케이션 1.1. 통역·번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1.2.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통역·번역 1.3. 커뮤니케이션이란? 1.4. 커뮤니케이션의 4대 요소 1.5. 커뮤니케이션의 성공과 실패 1.6. 소통 중심의 통역·번역 제2장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2.1. 커뮤니케이션의 본질과 경제성의 원리 2.2. 함축 및 추론과 경제성의 원칙 2.3. 적합성 이론의 비용-효용 모델 2.4. 협동의 원칙과 대화의 4대 격률 2.5. 대화의 격률의 의도적 위반과 추론 2.6. 명시의 비...
Saved in:
Main Author: | |
---|---|
Format: | Textbook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Hàn Quốc :
한국문화사 ; NXB Văn hóa Hàn Quốc,
2021.
|
Subjects: | |
Tags: |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
LEADER | 05556nam a22002417a 4500 | ||
---|---|---|---|
005 | 20210625154341.0 | ||
008 | 210625s2021 ko a|||| |||| 00| | kor d | ||
999 | |c 6663 |d 6663 | ||
020 | |a 9788957265949 |c 265000 | ||
040 | |a Phenikaa Uni |b vie |c Phenikaa Uni |e aacr2 | ||
041 | |a kor | ||
044 | |a ko | ||
082 | 0 | 4 | |2 23 |a 495.7 |b T310H 2021 |
100 | |a Jeong, Ho Jeong | ||
245 | |a Tìm hiểu về biên dịch - phiên dịch - 제대로 된 통역 번역의 이해 / |c 정호정 - Jeong Ho Jeong | ||
260 | |a Hàn Quốc : |b 한국문화사 ; NXB Văn hóa Hàn Quốc, |c 2021. | ||
300 | |a 262 tr. ; |c 22cm. | ||
520 | 3 | |a PART 01 통역·번역이란 무엇인가? 제1장 통역·번역과 커뮤니케이션 1.1. 통역·번역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1.2.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통역·번역 1.3. 커뮤니케이션이란? 1.4. 커뮤니케이션의 4대 요소 1.5. 커뮤니케이션의 성공과 실패 1.6. 소통 중심의 통역·번역 제2장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2.1. 커뮤니케이션의 본질과 경제성의 원리 2.2. 함축 및 추론과 경제성의 원칙 2.3. 적합성 이론의 비용-효용 모델 2.4. 협동의 원칙과 대화의 4대 격률 2.5. 대화의 격률의 의도적 위반과 추론 2.6. 명시의 비(非)명시의/ 외연의-내포의 2.7. 추론의와 집단공유지식 2.8. 이문화간 커뮤니케이션과 공유배경지식 제3장 전문직으로서의 통역사/번역사 3.1. 메시지의 문화특수성 3.2. 언어장벽과 문화장벽의 중개 3.3. 통역사/번역사의 자질 3.4. 통역사/번역사의 언어 분류 3.5. 특수언어와 한영 통역·번역 3.6. 삼자간 대화와 통역사/번역사의 역할 3.7. 전문통역사/번역사단체 3.7.1. 국제회의통역사협회(AIIC) 3.7.2. 세계번역사연맹(FIT) 3.8. 용어의 표준화: 번역자-번역사-번역가 3.9. 제반분야전문가 대 특수분야전문가 3.10. 통역사/번역사의 전문성 PART 02 통역·번역의 핵심개념 제4장 번역가능성 4.1. 직역 대 의역 논쟁 4.2. 번역가능성의 정의 4.3. 순수언어와 번역가능성 4.4. 의미: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4.5. 어휘·문화적 공백과 번역가능성 제5장 메시지와 의미 5.1. 의미의 정의 및 분류 5.2. 적합성 이론의 설명 5.3. 언어장 이론 5.4. 틀과 스크립트 이론의 '학습되는 프레임' 제6장 등가와 대응 6.1. 의미의 형태와 내용 6.2. 등가와 대응 6.3. 등가의 양적(量的) 관계 중심의 분류 6.4. 다양한 층위에서의 등가 6.5. 텍스트적 등가 6.6. 기능적 등가 6.7. 해석이론의 '등가'와 '대응' 6.8. 등가에서 대응으로 제7장 텍스트 규범과 수용가능성 7.1. 번역학에의 접근법 7.2. 기술적(記述的) 접근법 7.3. 번역규범 7.4. 번역보편소 7.5. Chesterman의 번역 규범 분류 PART 03 통역·번역 이론 제8장 통역·번역모델 8.1. 커뮤니케이션 모델 8.2. 삼단계 전이 모델 및 채널 모델 8.3. 해석이론의 삼각형 모델 8.4. 기능주의적 접근 제9장 번역과 번역학의 분류 9.1. 번역학의 구성 9.1.1. Holmes의 번역학 세부 분야 도해(圖解) 9.1.2. Toury의 번역학 세부분야 도해 9.2. 번역의 분류 9.2.1. Jakobson의 번역 분류 9.2.2. Newmark의 번역 분류 9.2.3. Nida의 번역방식의 분류 9.2.4. Gutt의 번역 분류 9.2.5. House의 번역 분류 9.2.6. Nord의 번역 분류 9.3. 적절한 번역 유형의 선택 제10장 번역사의 결정 10.1. 결정과 문제해결 10.2. 번역을 둘러싼 결정의 어려움 10.3. 번역사 결정의 두 가지 층위 10.4. 번역과정의 계획 10.5. 번역 브리프 10.6. 상향식 번역 과정 10.7. 하향식 번역 과정 제11장 번역사의 중재 기재 11.1. 번역 전환의 정의 11.2. 선택적 번역 전환과 의무적 번역 전환 11.3. Catford의 번역 전환 11.4. Vinay & Darbelnet의 번역 전환 11.4.1. 직접 번역 전략 11.4.2. 간접번역전략 11.5. 이국화 전략 대 자국화 전략 11.6. 번역사의 불가시성과 번역의 투명성 PART 04 통역·번역의 실제 제12장 통역·기억력·노트테이킹 12.1. 통역의 분류 12.1.1. 통역 상황별 분류 12.1.2. 통역방식별 분류 12.1.3. 통역언어 중개 방향별 분류 12.1.4. 통역사-연사 간 물리적 거리별 분류 12.2. 통역과 기억 12.2.1. 통역과 기억의 관계 12.2.2. 축어적 기억과 실질적 기억 12.2.3. 인간의 단기 정보처리용량: 7±2단위 12.2.4. 기억 도우미로서의 노트테이킹 12.2.5. 통역에 있어서 노트테이킹의 중요성 12.2.6. 노트테이킹을 어떻게 할 것인가? 12.2.7. 노트테이킹 기호의 예 제13장 번역 종류별 접근법 13.1. 번역분류 13.1.1. 문어텍스트 대상의 번역 유형 분류 13.1.2. 텍스트 모드 중심의 번역 유형 분류 13.2. 실용전문번역 13.3. 문학출판 번역 및 일반출판 번역 13.3.1. 인바운드 번역 시장 13.3.2. 아웃바운드 번역 시장 13.3.3. 인바운드 일반 출판 번역 13.4. 영상번역 13.4.1. 영상번역의 중요성 13.4.2. 영상번역의 정의 13.4.3. 영상번역의 종류 13.4.4. 영상번역의 특징 13.4.5. 영상번역의 원칙 | |
650 | 0 | 4 | |a Tiếng Hàn Quốc |
650 | 0 | 4 | |a Phiên dịch |
650 | 0 | 4 | |a Biên dịch |
942 | |2 ddc |c SGT | ||
952 | |0 0 |1 0 |2 ddc |4 0 |6 495_700000000000000_T310H_2021 |7 1 |9 30731 |a PHENIKAA |b PHENIKAA |c PNK_103 |d 2021-06-25 |e Mua |g 265000.00 |l 0 |o 495.7 T310H 2021 |p 00027796 |r 2021-06-25 |v 265000.00 |w 2021-06-25 |y SGT |